익산시 홀로그램콘텐츠서비스센터, 한국조명ICT연구원, 원광대 등 홀로그램 산업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은 전문기관이 존재하며, 전라북도 內 홀로그램 관련 유관기관이 다수 존재합니다.
전북문화콘텐츠산업진흥원
콘텐츠산업 진흥을 위한 주요시책 개발 관련 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등 지역 혁신 성장 기반 조성 및 지원
▪주요사업
- 전북 글로벌게임센터,
콘텐츠코리아랩, 지역 거점형
콘텐츠기업육성센터 운영
- 문화콘텐츠아카데미,
레트콘음악창작소,
군산홀로그램체험존 조성 및 운영
홀로그램콘텐츠 서비스센터
홀로그램 Every-One 지원 시스템 구축
기업들에게 아이디어 발굴,
1:1 맞춤형 컨설팅, 제품제작기술 지원,
리빙랩 상용화 가능성 평가 등
종합적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전북테크노파크
ICT분야 기업 입주공간 50실 보유
▪지원시설
- 본부동(교육 및 연구시설, 4,702㎡)
- 생산지원동 A동 3,789㎡,
B동 4,145㎡
- 벤처지원동(6,600㎡, 생산지원
시설 및 입주기업보육시설)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SW 기업 성장 지원 및 유성
▪지원시설
- IT벤처센터
(지하 1층, 지상 4층 2,847㎡)
- 멀티미디어기술지원센터
(지하 1층/지상 3층, 3,028㎡)
-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지상 2 층, 427㎡)
- 무화산업지원센터
(지하 1층/지상 3층, 1,462㎡)
▪연구기관
2019년 홀로그램콘텐츠 서비스지원센터
구축지원사업에 선정되어 관련 산업육성을 위한
연구기관의 역량을 결집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조명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등이 참여했으며,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홀로그래피 핵심기술의 선점을 위해 2010
년 국내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디지털 홀로그래피 연구회’를
조직하고 국내 홀로그램 기술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인력양성
지역 대학과 연계한 실감형 융합콘텐츠 전문인력 양성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원광대학교 디지털콘텐츠공학과
개설, ‘17년)
- 원광대학교는 홀로그램 산업 육성, 최신 기술 R&D,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교책연구소 인 ‘홀로그램 기술융복합연구소’를
설립했습니다.
- 그 외 지역 내 대학(전북대, 전주대 등)에서 홀로그램 관련 우수
인력의 양성·공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투자유치기업
㈜로커스, 홀로스페이스(주), ㈜홀로랩 등 홀로그램 관련 기업의 MOU 체결 및 익산시 기업 이전 등이 진행중입니다.
- 일반적으로 사진으로 물체의 밝고 어두운 빛의 세기(즉, 진폭)만 기록할 뿐 물체의 위치(즉, 위상)를 기족하지 못하는 반면,홀로그램은 진폭과 위상을 모두 기록해 3차원
영상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 홀로그램에 빛을 비추면 홀로그램에 기록된 물체의 영상이 3차원으로 재생되는데 이는 사진필름에 기록된 간섭무늬에 담겨된 물체의 입체적인 영상 정보를 회절이라는 광학적
원리를 이용해 3차원으로 재생하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한 장의 홀로그램 사진으로 보는 위치에 따라 정면, 측면, 위아래 등 마치 실물을 보듯이 볼 수 있습니다.
플로팅 홀로그램이란, 무대 천장에 설치된 프로젝터가 무대 바닥의 스크린에 영상을 비추고,바닥 스크린에 반사된 영상이 무대 위 45º각도로 설치된 투명한 포일에 맺혀 허공에
떠 있는 듯한 형상을 만들어 내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 기술은 '페퍼스 고스트(Pepper's ghost)'라는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1800년대 극장에서 착시효과를 이용해 연극 무대에 유령을 연출한 극 연출가 존 헨리 페퍼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사실, 플로팅 홀로그램은 입체 정보를 기록하고 다시 재구성하는 원리인 진정한 홀로그램과는 달리, 평면 영상만으로 입체효과를 낸다는 점에서 '유사 홀로그램'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백제의 대표유물인 ‘금동대향로’를 홀로그램으로 재현한 작품입니다.
-레이저에서 나온 빛을 2개로 분산시켜 한 광선은 확산하여 홀로그래피 감광재료를 비추는 참조광으로 사용하고 다른 한 광선은 피사체를 비추어 표면에서의 난반사를 일으켜
감광재료를 비추는 물체광으로 사용합니다.
- 참조광과 물체광의 간섭현상에 의해 필름 위에 기록되는 방식입니다.
- 홀로그램의 뒷부분에서 재생조명광(레이저)을 조사하여 상을 표현합니다.
플로팅 홀로그램은 기울어진 투명포일이나 하프미러 등, 빛의 투과성과 반사성을 동시에 가지며 고르고 판판한 형태의 막을 중심으로, 영상이나 사진 등의 기준되는 빛이나 색을 가진 매체를 한쪽에 가려두고 반대편에 허상을 비치게 하는 홀로그램을 의미하여 1860년대 ‘페퍼의 유령’이라는 이름으로 시연된 유사 홀로그램 원리를 활용한 것입니다. 상단에 설치된 프로젝터의 빔을 통해서 미리 제작, 촬영한 3D 영상을 반사표면이 있는 미러 성질의 바닥으로 영사하고, 바닥에 반사된 영상은 45도 각도의 기울기로 고정된 투명 포일(Transparent foil)이라는 일정 투과율의 투영 필름이 반사되어 무대에서 보는 관객에게는 투영된 영상이 마치 허공에 뜬 것처럼 보이게 되는 입체감을 느끼는 영상 기술입니다
테이블탑형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는 여러 개의 SLM을 타일링하거나, SLM으로부터 재현된 홀로그램 영상을 고속으로 스캐닝함으로써 시공간 다중화를 하여 대화면 홀로그램을 넓은 시야각에서 관찰하도록 구현 할수 있습니다. 본 과제에서는 SLM을 통해 변조한 광파를 렌즈를 통해 동공 크기의 시야창으로 집속하는 시야창 기반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방식을 기본 구조로 하며, 생성된 시야창을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생성된 3차원 홀로그래픽 입체 영상을 사방에서 보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출처: 홀로그램콘텐츠서비스센터
활용 분야
윤활재, 전지전극, 원자로, 마찰재
'인조흑연'은 석유 또는 석탄 부산물인 코크스(Cokes)를 2천800˚C 이상으로 열처리해 흑연화한 합성물입니다. 천연 흑연이 비교적 저가제품에 쓰이는 데 반해 천연 흑연보다 순도가 높고 비중은 작은 인조흑연은 경량성 `내열성`, `열전도성`, `화학적 안정성`, 강도 등이 탁월해 철강산의 전극봉, 2차전지 음극재, 반도체 및 태양전지용 핵심소재, 원자력산업 감속재 등으로 두루 쓰입니다.
활용 분야
모빌리티, 풍력발전기, 방위산업, 스포츠, 건축
‘탄소섬유’는 영어로 carbon fibers로, 탄소가 90% 이상으로 이뤄진 섬유입니다. 탄소 원자들은 섬유길이 방향을 따라 육각 고리 결정 형태로 붙어 있는데요. 이러한 분자 배열 구조가 강한 물리적인 속성을 갖게 합니다. 한 가닥의 실은 수 천 가닥의 탄소 섬유로 이뤄져 있으며 플라스틱, 유리와 결합했을 때 높은 강도의 복합재료가 만들어집니다. 탄소섬유 밀도는 강철보다 낮기 때문에 무게는 가벼우면서도 강한 특징을 갖게 됩니다.
활용 분야
타이어, 도료, 전도성 잉크
카본 블랙은 중질 석유 제품의 불완전 연소에서 형성되는 흡착제입니다. 카본 블랙에는 아세틸렌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및 써멀 블랙을 포함한 몇 가지 하위 유형이 있습니다. 카본 블랙 생산의 원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유 제품은 FCC 타르, 콜타르, 에틸렌 크래킹 타르 등입니다. 고대로부터 잉크 ·먹 ·그림물감으로 사용되어왔으며 20세기에 들어서는고무의 보강제로도 쓰이게 되었으며 타이어 산업의 아주 중요한 재료이기도 합니다.
활용 분야
이차전지 전극, 연료전지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가 육각형을 이룬 흑연면(graphite sheet)이 관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분자 사슬로, 기계적 강도가 철보다 100배가량 뛰어나면서도 구리와 비슷한 수준의 높은 전기전도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높은 열전도율을 지니고 있으며, 분자 사슬이 말려있는 구조에 따라 금속 또는 반도체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배터리, 반도체, 세라믹, 페인트, 코팅, 필름 등 다양한 분야에 성능을 향상하는 첨가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활용 분야
환경필터, 슈퍼커패시터
활성탄소는 식물계인 톱밥, 목재 및 야자껍질과 광물계인 석탄류를 원료로, 900 ~ 1200℃의 고온에서 수증기로 활성화하여 제조된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로 흡착성능이 뛰어난 물질입니다. 활성탄소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말활성탄과 입상활성탄으로 분류되며, 탈색, 탈취, 용제회수, 상수 및 폐수처리용 등으로 전산업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활용 분야
방열/발열부품, 디스플레이
그래핀은 탄소의 동소체 중 하나이며 탄소 원자들이 모여 2차원 평면을 이루고 있는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그래핀은 구리보다 전기 전도율이 100배 이상 좋고, 다이아몬드보다 열전도율이 2배 가량 높으며 강철보다 단단하기 때문에 꿈의 소재라고도 불립니다.
모빌리티
- 친환경수소기기(탄소섬유)
- 경량부품(탄소섬유)
- 자율주행(탄소섬유,카본블랙)
- PAV·드론(탄소섬유,카본블랙)
- 이차 전지
·연료전지(인조흑연,CNT)
- 의료기기(탄소섬유,활성탄소)
에너지·환경
- 경량부품(탄소섬유)
- 이차 전지
·연료전지(인조흑연,CNT)
- 태양광(탄소섬유,인조흑연)
- 풍력(블레이드)(탄소섬유,인조흑연)
- 전극봉(인조흑연)
- 환경(대기/수질)필터(활성탄,탄소섬유)
라이프 케어
- 경량부품(탄소섬유)
- 이차 전지
·연료전지(인조흑연,CNT)
- 의료기기(탄소섬유,활성탄소)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그리핀)
- 래저·스포츠(탄소섬유,인조흑연)
- 재활·의료보조기기(탄소섬유,활성탄소)
- 토목·건축(탄소섬유,활성탄소)
방산·우주
- 경량부품(탄소섬유)
- 방위산업(탄소섬유,활성탄소)
- 인공위성(탄소섬유,인조흑연)
건설
- 경량부품(탄소섬유)
- 환경(대기/수질)필터(활성탄,탄소섬유)
- 인공위성(탄소섬유,인조흑연)
- 송유관(탄소섬유)
- 산업용 케이블(탄소섬유)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뛰어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폭발 위험성이 있는 액체 전해질 대신 화학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polymer(고체 또는 젤 형태의 고분자 중합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배터리입니다.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해 누액과 폭발의 위험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3mm 정도의 얇은 두께나 소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해 디자인 특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수냉식 배터리 냉각 시스템
배터리의 온도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수냉식 열관리 시스템은 냉각수를 이용해 냉각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내구성을 우수하게 해주며, 냉각 효율 및 효과가 높아 배터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구동 모터
자동차의 엔진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전기자동차를 움직이는 모터입니다. 전류를 흘려주면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회전하도록 만들어주는 부품에 전기강판이 사용됩니다. 전기강판의 전력 손실이 낮을수록 구동모터의 효율이 향상되며,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효율(전비)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출처: 현대 트럭앤 버스
배터리(경제형)
만들어진 전기를 저장하고, 주행 시 보조 역할을 합니다. (출차 시 배터리 전기를 사용합니다.)
수소 탱크
충전한 수소를 저장하여 연료전지에 공급합니다.
연료전지(스택)
충전한 수소와 연료전지 막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주행을 위한 전기를 생성합니다.
출처: 녹색 에너지 연구원
- 연료극에 유입된 수소는 백금촉매에 의해 산화되어 수소양이온과 전자로 분해
- 연료극에서 발생된 수소양이온은 전해질막을 통해 공기극으로 이동,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해 공기극으로 이동
- 공기극으로 이동한 수소양이온과 전자는 산소와 결합하여 물 생성
출처: 두산퓨어셀
개질기
(Reformer)
화석연료(천연가스, 메탄올, 석유 등)로 부터 수소를 발생시키는 장치 시스템에 악영향을 주는 황(10ppb이하), 일산화탄소(10ppm이하) 제어 및 시스템 효율향상을 위한 compact가 핵심 기술
스택
(Stack)
원하는 전기출력을 얻기 위해 단위전지를 수십장, 수백장 직렬로 쌓아 올린 본체 단위전지 제조, 단위전지 적층 및 밀봉, 수소공급과 열회수를 위한 분리판 설계·제작 등이 핵심기술
전력변환기
(Inverter)
연료전지에서 나오는 직류전기(DC)를 우리가 사용하는 교류(AC)로 변환시키는 장치
주변보조기기
(BOP : Balance of Plane)
연료, 공기, 열회수 등을 위한 펌프류, Blower, 센서 등을 말하며, 연료전지에 특성에 맞는 기술이 미비함
출처: 두산퓨어셀
수소 튜브 트레일러
충기체 수소를 운반하는 트럭을 튜브 트레일러라고 합니다. 기체 수소는 트럭이 운반하는 트레일러에 쌓인 긴 실린더로 180bar(~2,600psig) 이상의
압력으로
압축됩니다. 이것은 긴 튜브의 모양을 제공하므로 이름이 튜브 트레일러입니다.
튜브 트레일러는 현재 미국 교통부(DOT) 규정에 따라 250bar의 압력으로 제한되지만 더 높은 압력(예:500bar 이상)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면제가
허용되었습니다. 스틸 튜브 트레일러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약 380kg을 기내에 실을 수 있습니다. 그들의 운반 능력은 강철 튜브의 무게에 의해
제한됩니다.
최근에는 트레일러당 560~900kg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복합 저장 용기가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튜브 트레일러는 현재 다른 국가에서 압축 천연 가스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생산성의 향상
투광량이 뛰어나고 내부 환경을 최적을 상태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기존 온실 대비 30~50% 이상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실질적인 연중 생산이 가능하며, 비닐온실이나 노지에서는 재배할 수 없었던 고부가가치 작물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투자 대비 수익성이 높습니다.
비용 절감
유리온실은 비닐온실에 비해 밀폐도가 높아 에너지 절감에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이중 스크린 사용으로 열 손실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보존합니다.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 유지 및 보수,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이 높음
유리온실은 통합 병해충 관리(IPM)등을 통해 해충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24시간 능동적으로 내부 환경을 통제합니다. 또한, 토양 박테리아가 없고 천적을 활용한 농법이 가능해 안정성이 높은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환경친화적 기술 적용
온실에 내리는 빗물은 전량 저수조에 모아 여과 과정을 거쳐 원수로 사용하며, 배액은 자외선 살균(UV)를 통해 다시 사용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이며 자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한 코코피트 배지는 상토 및 거름으로 활용할수 있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양액기는 작물에 물을 줄 때 영양분을 함께 주는 기계장치이며, 작물이 필요한 시점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양분의 효율을 높이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물의 품질 향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정한 데이터와 맞지 않게 공급될 때에는 경보가 발생하거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으며 복합환경제어 시스템 또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인터넷으로 원격제어 할 수있습니다.
일사량 센서는 실외 햇빛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로, 해당 정보는 작물의 광합성을 하는 양을 추측하는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커튼 제어 등을 통해 실외 일사량을 측정하여 실내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측창개폐기는 온실 외부의 감우센서에 의해 얻어진 감우정보에 의해 온실 천창과 측창의 개폐를 제어합니다.
유동팬은 공기 유동량을 제어해 온실내부의 온·습도를 조절하고, CO2의 편차를 최소화합니다. 이에 따라 광합성이 촉진되고, CO2 엽면 경계층의 저항이 감소하며 온도 분포의 균일화가 이루어져 에너지 절감에 도움을 줍니다.
외부환경을 측정하는 센서로 실외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 - 실외 온도·습도 데이터를 통해 온실 내부 온·습도 기준을 온실의 천창 환기, 차광·보온 커튼 등의 설정을 통해 맞출 수 있습니다.